logo
[비평] 희망의 본질에 대하여, <사유리>
라이프스타일

[비평] 희망의 본질에 대하여, <사유리>

춘식이 기자
입력
수정

미리 밝히겠다. 나는 일본 문화의 열성적인 팬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언가에 사로잡혀 <사유리>를 보았고 흥미로웠다. 기대감과 데이터베이스가 없어서 그렇게 봤을 수도 있다. 이 글은 무지로부터 출발한다. <사유리>는 이질적인 두개의 장르를 꽤 잘 어울리게 접목한 형태의 영화다. 두개의 장르 중 하나는 호러고, 다른 하나는 열혈물이다. 개인적으로 2부에 펼쳐지는 후자를 일본의 전통 장르라 부르기도 하고 ‘희망’이라 명명하기도 한다. 충분한 논의가 있기를 바라며 잠깐 적어보자면 일본의 현실 세계와 유리된 채 상당히 오랜 세월 일본의 애니메이션과 영화는 무모하리만치 희망을 품는다. 전후 폐허가 된 일본이 겪은 괴리를 픽션으로 극복한다고 볼 수도 있지만 그러기엔 그때로부터 너무나 오랜 시간이 지났다. 왜 이러한 양상이 진행 중인지에 대해 궁금하지만 내 몫은 아닌 것 같다.

<사유리>가 심리-액션 활극으로 변모하는 순간

 

 

다시 돌아와 <사유리>를 보며 ‘공포’라는 것이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해보게 된다. 공포감에 사로잡히기 위해 스스로 영화관에 들어간다. 스크린에 비치는 것이 거짓임을 알면서도 무언가가 튀어나올 기미가 보이면 손으로 스크린을 가린다. 무엇이 보기 싫었던 것일까? 구로사와 기요시 감독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 세상에는 절대로 이해할 수 없는 존재가 있다.”(<구로사와 기요시, 21세기의 영화를 말한다>) 그 존재는 단숨에 드러나지 않는다. 영화는 정보를 제한하여 그 존재를 파편화된 퍼즐로 관객에게 제시한다. 영화를 보면서 보기 싫었던 것은 그 존재의 얼굴이다. 구로사와는 하나의 불투명한 막을 두고 그 뒤에 이해할 수 없는 존재를 들이민다. 그 막이란 유리창(<클라우드>) 혹은 모니터(<회로>)일 수도 있다. 그 위로 비친 얼굴들은 불투명하다. 구로사와가 생각하는 타자의 이미지다. 설령 그 존재가 선명하게 드러나도 불가해함은 여전히 찜찜하게 남는다.

춘식이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