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총선 참패 반성도 모자란데 자해정치… 미래비전 제시할 때”
정치

“총선 참패 반성도 모자란데 자해정치… 미래비전 제시할 때”

정소원 기자
입력
수정
與 당대표 후보 인터뷰 <4> 윤상현

국민의힘 7·23 전당대회 당대표 경선에 출마한 윤상현 후보는 지난 1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진행된 국민일보 인터뷰에서 “총선 참패에 대해 모두가 반성해도 모자랄 판에 불필요한 자해정치를 하고 있다”며 전당대회 과정에서 불거진 당내 갈등에 우려를 표했다.

윤 후보는 유력 당권 주자인 한동훈 후보의 ‘김건희 여사 문자 무시’ 논란에 대해서는 “한 후보가 사과해야 한다”면서도 “전당대회 국면에서 불필요한 논란만 야기하는 소재가 갑작스럽게 등장한 건 대단히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처절한 반성과 성찰의 토대 위에서 당의 미래비전을 제시해야 할 때”라며 수도권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골자로 한 ‘보수 혁명’을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당내 주도권을 두고 친한(친한동훈)과 친윤(친윤석열) 간 반목이 근본 원인이다. 이대로 간다면 누가 당선되든 파국으로 치달을 수 있다. 괴멸적 수준의 총선 참패에 대해 모두가 책임의식을 가지고 성찰과 반성을 해도 모자라는 상황이다. 지금은 처절한 반성과 성찰의 토대 위에서 당의 미래비전을 제시해야 할 때다.”

-친윤·친한 간 갈등을 과거 친이(친이명박)-친박(친박근혜) 간 갈등과 비교한다면.

“과거 친이·친박 갈등이 주로 정책이나 정치적 이념에서 차이를 보였다면 현재의 친윤·친한 갈등은 주로 개인적 충성도와 정치적 입지 다툼으로 보인다. 친이·친박 갈등이 격화돼 결국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이어졌다. 현재 당내 갈등도 지속된다면 비슷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모두 자제해야 한다.”

 

-‘김 여사 문자 무시’ 논란은 어떻게 평가하나.

“지난 1월 김 여사의 문자메시지 건을 제때 논의해 민심이 원하는 방향으로 상황이 전개됐다면 총선 결과는 달라졌을 것이다. 한 후보가 사과해야 한다. 그러나 당의 화합과 재건을 논의해도 부족한 시기에 불필요한 논란만 야기하는 소재가 갑작스럽게 등장한 건 대단히 유감스럽다. 불필요한 자해정치다. 이런 문제가 불거진 건 당이 공식적으로 총선 패배의 원인을 규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빨리 총선백서를 발간해야 한다.”

국민의힘 7·23 당대표 선거에 출마한 윤상현 후보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에서 국민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정소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총선#미래 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