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뉴스
차기 대선주자 ‘가상자산’ 공약 발표… 관심도는?
김지연 기자 기자
입력
수정

2022대선이 한 달여 남은 가운데, 차기 대선 후보자들은 앞다퉈 세대특〮정집단 맞춤형 공약을 내놓고 있다. 그중 거세지는 가상화폐 열풍에 맞춰 후보 별로 가상자산 공약을 발표해 투자자들의 관심을 불러 모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이 긴축 정책을 예고하면서 가상자산이 큰 하락세를 보이는 요즘, 대선 사상 처음으로 발표된 가상자산 공약은 얼마나 관심을 불러 모았을까? 검색량을 통해 분석해 봤다.

데이터 전문기업 TDI(티디아이)의 분석 플랫폼인 데이터드래곤을 통해 최근 30일(2021년 12월 25일~2022년 1월 23일) 동안 ‘가상자산’ 검색량을 살펴봤다. 그 결과 PC(3,320건), 모바일(6,520건) 도합 9,840건으로 나타났다.

최근 일주일 동안 ‘가상자산’ 검색량 추이를 알아봤다. 검색량은 1월 19일(1,800건)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날(18일) 검색량 289건 대비 6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19일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가상자산으로 표심 잡기에 나선 때이다. 가상자산 주 투자층인 2030대 유권자들을 공략한 가상자산 공약을 해 대중의 관심이 쏟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분석 기간 동안 ‘가상자산’ 연관 검색어는 어땠을까? 분석 결과, ‘가상자산 과세’가 연관 검색어 3위에 올랐다. 2023년부터 시행되는 가상자산 과세와 관련해 비과세 한도, 구체적인 액수 등에 투자자의 관심이 많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재명 가상자산’이 연관 검색어 4위, ‘윤석열 가상자산’이 5위에 올라 각 후보 별로 가상자산 정책에 어떻게 차별화를 두고 있는지, 구체적인 공약은 무엇인지 궁금해하는 이들도 많았다.

윤석열 후보와 이재명 후보는 가상자산으로 번 소득에 대한 비과세 한도를 현재 250만 원에서 5천만 원으로 늘리겠다고 공약한 점을 제외하면 세부 공약에 미묘한 차이가 존재한다.
윤 후보는 안전장치가 마련된 거래소발행(IEO) 방식을 선 도입한 후 국내 가상자산 공개(ICO, Initial Coin Offering)를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반해 이 후보는 투자자 보호 및 시장의 안전장치를 마련한 후 법 제정 전이라도 가상자산 공개(ICO) 허용을 검토하겠다고 전했다.
이외에도 가상자산 관련 법에 관해 윤 후보는 불공정거래 수익 환수, 해킹 및 시스템 오류 등을 대비한 보험제도 확대 등의 내용을 담은 '디지털자산 기본법'을 제정하겠다고 공약했다. 이 후보는 가상자산 상장 기준 마련, 공시제도 투명화 등의 내용이 담긴 가상자산 관련 법을 신속히 제정하겠다고 밝혔다.
김지연 기자 기자
밴드
URL복사
#남대문시장#마장시장#인정시장#전통시장#데이터드래곤#빅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