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대출 3조원 넘어… '금융폭탄' 우려 확산
**대통령실과 행정부의 적극적인 개입 요구되는 상황**
국내 리츠(Real Estate Investment Trust) 및 부동산 펀드 운용사들이 보유한 홈플러스 점포에 대한 금융권 대출금이 3조원을 넘어섰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금융폭탄'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기업 부도 문제를 넘어 국가 경제 안정에도 직결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며,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해결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 임차 점포 67곳 중 리츠 및 펀드가 인수한 36곳에 대한 은행 대출규모는 약 9,314억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시중은행이 직접 제공한 대출 규모인 약 1,106억원을 합쳐 1조원을 넘어서는 수치다.
또한 2금융권에서는 산은캐피탈, 신협중앙회, 삼성생명 등이 리츠 및 펀드에 약 4,100억 원의 담보대출을 제공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나머지 31곳에 대한 대출 또한 실행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전체 대출금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이러한 방대한 대출이 홈플러스의 임대료 감면안 발표로 인해 심각한 위험에 노출되었다고 판단되는 것이다. 최근 홈플러스는 공모 상품 기준 임대료 30%, 사모 상품 기준 50%를 단기간에 삭감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으며, 이는 리츠 및 펀드의 수익성을 크게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임대료 감면이 현실화될 경우 리츠 및 펀드는 대출금 이자 상환에 어려움을 겪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금융기관은 기한이익상실이 적용되면 대출금 조기 회수를 요구하며, 최악의 경우 담보권 행사를 통해 홈플러스 점포를 매각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점포 가격이 제값을 못 받게 되는 등 투자자들의 원금 손실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
홈플러스 사태는 단순한 기업 부도 문제를 넘어 국가 경제 안정에 직결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리츠 및 펀드 시장은 일반 국민들의 투자 자금이 집중되는 분야인 만큼, 이번 사태가 확산될 경우 투자자 신뢰도 하락과 더불어 재정시장의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
정부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대통령실 및 행정부는 리츠 및 펀드 운용사, 금융기관, 홈플러스 간의 합의를 도출하고, 투자자들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이번 사태의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여 재발 방지책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현재 금융당국은 리츠 및 펀드 운용사가 보유한 홈플러스 점포에 대한 대출 규모를 집계하고 있으며, 자금의 원천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그러나 이는 사태 해결에 불충분하며,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개입이 시급하다.
대통령실과 행정부는 리츠 및 펀드 운용사, 금융기관과 함께 협의하여 임대료 감면 문제를 해결하고 대출금 상환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투자자들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마련도 필요하다.
이번 사태는 단순히 한 기업의 부도 문제가 아니라 국가 경제 안정에 직결되는 심각한 문제이다. 정부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인 책임감을 가지고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