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챗봇 딥시크부터 전기차까지…중국은 모두를 앞서고 있나?
중국산 인공지능(AI) 챗봇 '딥시크'의 등장에 전 세계가 깜짝 놀랐으나, 중국 전문가들에게 이는 그리 놀랍지 않다.
중국은 지난 10년 동안 '중국 제조 2025'라는 야심 찬 계획의 일환으로 AI를 포함한 여러 첨단 기술에 대한 전문성을 서서히 쌓아오고 있었다.
그리고 딥시크의 성공은 이 거대한 프로젝트가 성공을 거두고 있다는 증거이다.
지난 2015년 중국 정부는 대대적으로 '메이드 인 차이나(중국 제조) 2025'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수없이 많은 일상적인 물건 한 귀퉁이에 찍혀 있는 '메이드 인 차이나'라는 문구를 저품질의 상징이 아닌 고품질 및 첨단 기술 패권의 상징으로 탈바꿈시키겠다는 포부였다.
그러면서 오는 2025년까지 중국이 지배해야 할 핵심 분야로 기술 분야 10개를 선정했다. 이와 관련한 상세한 문서 모두 AI, 양자 컴퓨팅, 전기 자동차, 재생 에너지, 배터리 기술 등을 언급했다.
그리고 이중 여러 분야에서 중국은 굵직한 존재감을 차지하는 데 성공했다. 심지어 가장 낙관적인 목표 그 이상을 달성해낸 분야도 있다.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의 개발경제학 전문가인 윤단 공 박사는 "나는 '중국 제조 2025'가 대체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고 본다"면서 "여러 산업 분야에서 중국은 선두를 따라잡고 있으며, 일부 분야에서는 이미 선두로 올라섰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중국은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 과거 중심지(독일, 일본, 미국)였던 곳들을 추월했으며, 이제 'BYD'와 같은 전기자동차 제조업체의 성공을 바탕으로 전 세계 1위의 자동차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성공은 중국이 전 세계 최대 배터리 생산지라는 사실과도 관련이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중국은 글로벌 태양광 패널 공급망의 약 80~95%를 책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은 이미 재생에너지 강국이며, 2028년까지 전 세계 재생에너지의 60%가 중국에서 생산될 것으로 예측한다.
- 중국의 ‘갈륨·게르마늄 수출 통제’가 반도체 전쟁에서 의미하는 바는?2023년 8월 1일
- AI는 인간관계에 대한 답을 줄 수 있을까?2024년 5월 18일
- 트럼프, 캐나다·멕시코·중국에 관세 전면 부과하기로2025년 2월 2일

드론 분야에서도 마찬가지다. 중국은 하늘을 지배하고 있다. 'BCC 리서치'에 따르면 중국 선전시에 본사를 둔 DJI는 전 세계 드론 시장에서 점유율 70%를 자랑한다. DJI를 포함해 세계 10대 드론 제조업체 중 3곳이 중국 기업이다.
중국 공산당은 자신들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세부 목표 250여 개를 제시하며 철저한 로드맵을 그렸다.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지의 분석에 따르면 이러한 목표 중 86%가 이미 달성된 상태다.
싱크탱크의 '독일 마셜 펀드'의 전무 이사이자 조 바이든 대통령의 고문이었던 린제이 고먼은 "중국은 정부가 직접 연구 및 자금 지원 계획을 수립하는 국가 지원 자본주의 모델 채택 및 실